- 문화재청 보도자료(16. 6. 16.) -
경주 황룡사 남쪽 우물서 청동접시 출토,촌주(村主) 실명 기재 첫 사례
- 고대도로 등 도시시설 함께 확인 / 6월 17일 발굴현장 설명회 개최 -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의 허가를 받아 (재)신라문화유산연구원이 조사 중인 경주 황룡사 남쪽담장 외곽 정비사업 부지에서 ‘달온심촌주(達溫心村主)’라는 촌주(村主) 이름이 새겨진 청동접시가 출토되었다. 또한, 신라 시대 도로, 배수로 등의 도시시설과 황룡사의 대지 축조방법을 알 수 있는 자료도 확인되었다.
* 촌주(村主): 지방민을 효율적으로 다스리기 위해 지방의 유력자에게 부여한 신라의 말단 행정관직
황룡사는 553년(진흥왕 14) 창건된 신라 최대 규모의 사찰로, 신라왕경 핵심권역에 해당된다. 이번 조사에서는 통일신라 말기에 폐기된 것으로 추정되는 우물이 황룡사의 서남쪽 경계부에서 확인되었는데, 이 우물에서는 촌주의 이름이 새겨진 자료로는 처음으로 ‘달온심촌주(達溫心村主)’가 적힌 청동접시가 출토되었다. 이 청동접시는 제사 때 사용한 토기 등과 함께 묻혔던 것으로 보아 황룡사의 의례행위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도 있다.
아울러 우물 내부에서는 편평하고 납작한 편병(扁甁) 등의 토기류, 중국백자편, 평기와, 청동제 손칼 등이 출토되었고, 당시 사람들의 식생활을 짐작할 수 있는 밤, 복숭아, 잣 등의 씨앗껍질과 생선뼈 등도 함께 발견되었다.
그리고 조사지역에서는 황룡사와 동궁 간 연결되는 동서도로와 황룡사 동쪽에서 분황사로 연결되는 남북도로가 확인되었다. 도로면에는 20∼30cm 정도의 굵은 돌을 깔아 기초를 만들고, 그 위에 잔자갈을 깔아 노면으로 사용하였다. 도로의 한쪽에는 너비 100cm, 깊이 40~100cm의 배수로를 설치하였으며, 그 이후에는 배수로를 메워 도로를 확장하여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번 발굴조사는 일부 지역에 한해 이루어진 관계로 도로 전체와 도로에 맞닿아 있는 광장의 전모는 드러나지 않은 상태이나, 향후 단계별 조사를 통해 도로와 광장에 대한 윤곽이 확인될 것으로 보인다.
*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가 실시한 신라왕경(2002년)과 황룡사 주변지역(1985년)에 대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광장은 너비 약 50m, 도로는 너비 약 15.5m이며, 동서도로가 황룡사에서 동궁까지 이어지는 것으로 추정
한편, 황룡사의 대지는 습지를 매립하여 조성된 것으로 조사 결과 밝혀졌다. 남쪽에서 북쪽, 동쪽에서 서쪽 방향으로 30〫 정도 경사지도록 흙을 교대로 다지면서 쌓았다. 또한, 바닥에는 굵은 돌을 깔았고, 일정한 간격으로 자갈층을 반복하여 다져 놓아 배수처리를 하는 등 신라 시대 토목기술의 진수를 잘 보여준다. 흙을 쌓은 성토층 아래의 습지에서는 6세기 무렵의 토기편이 출토되고 있어 진흥왕 시기의 황룡사 창건 기록과도 일치함을 알 수 있다.
이번 발굴조사 성과는 오는 17일 오후 2시 개최되는 발굴현장 설명회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신라문화유산연구원(☎070-4350-4705)으로 문의하면 된다.
* 발굴현장: 경상북도 경주시 구황동 420-1번지 황룡사 남쪽 담장 외곽 일원
보도자료에 첨부된 사진 파일
0616 경주 황룡사 남쪽 우물에서 청동접시 출토, 촌주(村主) 실명 기재 첫 사례(붙임).pdf
내 생각에는. 아직 상상의 수준에 머무는 것이지만.
상수리(上守吏)로 왕경에 와서 일시 거주하던 지방의 촌주가 사용하던 것이 아닌가...
아래는 언론보도.
< 경주 황룡사 우물서 청동접시 출토…'촌주' 직함 새겨져 > (연합, 16. 6. 16.)
'발굴소식 > 고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몽골 알타이 고분에 한국 고총고분 축조 기법 확인 (0) | 2016.07.10 |
---|---|
인천 문학산서 통일신라 제의유적 발견 (0) | 2016.07.05 |
1천5백년 전 신라시대 여성얼굴 복원 (0) | 2016.06.08 |
충주 탄금대에서 4세기대 백제 철 생산유적 확인 (0) | 2016.06.02 |
삼척 흥전리 사지, 통일신라 청동정병(靑銅淨甁) 출토 (0) | 2016.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