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발굴소식/고대

동궁과 월지에서 신라 수세식 화장실 발굴

  불국사 등에 남은 부춧돌을 보면,

  왕궁이나 귀족 저택에도 돌을 잘 다듬은 바닥에, 구멍을 뚫거나 물길을 내어 용변을 본 뒤에 물을 흘려보내는 화장실 시설이 있었으리라는 것은 충분히 상상가능한 것이었다.

  오래전 동천동 왕경 유적 발굴 때도 비슷한 용도로 추정되는 유구가 있었고.

<불국사 부춧돌>

 

  그런데 현재 발굴 진행중인 동궁과 월지의 동북쪽에서 상당히 상태가 좋은 화장실 유구가 발견된 모양이다. 아래는 문화재청 보도자료.

 

 


동궁과 월지에서 신라 왕궁 수세식 화장실 유구 확인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소장 이종훈)는 경주 동궁과 월지(사적 제18호, 옛 사적명: 안압지)의 북동쪽 인접지역에 대한 발굴조사 성과를 26일 오후 2시 30분부터 발굴현장에서 일반에 공개한다.
  * 발굴조사 현장: 경상북도 경주시 인왕동 22-2번지 일원

 

  경주 동궁과 월지는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직후 문무왕 14년(674년)에 세워진 동궁과 주요 관청이 있었던 곳으로, 1975년 문화재관리국(문화재청 전신) 경주고적발굴조사단에 의해 처음 조사되었다. 첫 조사 당시 인공 연못, 섬, 동궁 관련 건물지 일부가 발굴되었으며, 3만 여점의 유물이 출토되면서 학계와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2007년 동궁과 월지 북동쪽 인접지역에 대한 발굴조사를 시작해 지금까지 대형건물지군, 담장, 배수로, 우물 등 동궁 관련 시설을 꾸준히 확인하고 있으며, 2007년 이전에 출토된 것과 동일한 종류의 기와와 벽돌, 토기류 등의 유물들도 계속 출토하고 있다.

 

  이번에 공개되는 유구 중에 가장 눈길을 끄는 것은 수세식 화장실 유구이다. 이 유구는 화장실 건물 내에 변기시설, 오물 배수시설까지 함께 발굴된 신라 왕궁의 화장실 유구인 것으로 확인됐다. 화장실 유구는 초석건물지 내에 변기가 있고, 변기를 통해 나온 오물이 잘 배출되어 나갈 수 있도록 점차 기울어지게 설계된 암거(暗渠)시설까지 갖춘  복합 변기형 석조물이 있는 구조이다. 변기형 석조 구조물은 양 다리를 딛고 쪼그려 앉을 수 앉는 판석형 석조물과 그 밑으로 오물이 밖으로 나갈 수 있게  타원형 구멍이 뚫린 또 다른 석조물이 조합된 형태이며, 구조상 변기형 석조물을 통해 내려간 오물이 하부의 암거로 배출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 변기형 석조물: 불국사에서 유사한 형태의 변기형 석조물이 확인된바 있으며, 형태적 측면에서 화장실 부재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됨
  * 암거(暗渠)시설: 지하에 고랑을 파서 물을 빼는 시설

 

  사용방식은 변기에 물을 흘려 오물을 제거하는 수세식으로 추정되며, 물을 유입하는 설비가 따로 갖추어지지 않은 것으로 보아 준비된 항아리 등에서 물을 떠서 변기하부로 오물을 씻어 내보내는 방식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동궁과 월지 화장실 유구의 특징은 통일신라 최상위 계층의 화장실 모습을 선명하게 보여준다는 것이다. ▲ 고급석재인 화강암을 가공하여 만든 변기시설과 ▲ 오물 제거에 수세식 방식이 사용된 점, ▲ 변기 하부와 오물 배수시설 바닥에 타일 기능의 전돌(쪼개어 만든 벽돌)을 깔아 마감한 점 등을 미루어 볼 때 통일신라 왕궁에서 사용된 고급 화장실의 실체를 짐작할 수 있다.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변기시설만 발견(불국사, 8세기)되거나 화장실 유구(익산 왕궁리, 7세기 중엽)만 확인되었을 뿐, 화장실 건물과 변기시설 그리고 오물 배수시설이 이렇게 같이 발굴된 사례는 없었다. 이번 동궁과 월지에서 확인된 화장실 유구는 화장실이라는 공간과 그 부속품들이 한자리에서 발견된 최초의 사례로, 현재까지 조사된 통일신라 시대까지의 고대 화장실 중 가장 고급형으로 이해할 수 있다. 나아가, 신라 왕실의 화장실 문화의 발달 정도를 가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발굴현장 동편에서 동궁과 월지의 출입문으로 추정되는 대형의 가구식 기단 건물지가 확인되었다. 건물지의 외곽을 따라 화강암재의 가구식 기단의 지대석과 계단시설이 2곳 남아있는데, 인근의 도로(임해로) 때문에 가로막혀 건물지 동서방향의 규모를 정확히 알 수는 없는 상태지만, 남북 21.1m, 동서 9.8m(추정) 정도라서 전체의 규모를 얼추 짐작할 수 있는 단서는 될 수 있다.
  * 가구식(架構式) 기단: 석조기단의 일종으로 주로 화강석을 사용해 만드는데 그 만드는 방식이 마치 목조가구와 같아서 붙여진 이름이며 통일신라 시대 주요 건물지에서 주로 확인됨

 

  건물지의 성격을 추정해보면, 통일신라 시대 왕경 남북도로에 맞닿아 있다는 점, 건물지 규모에 비해 넓은 계단시설을 갖추고 있다는 점 등을 볼 때 문지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정문은 아니더라도 동쪽에 자리한 점으로 보아 그동안 동궁과 월지에서 한 번도 발견된 적 없던 출입문이 발견되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발견이며, 유적 전체의 규모와 경계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현재 인왕동 박물관네거리에서 시작하여 동궁과 월지와 황룡사 사이를 지나는 경주 임해로 하부에는 통일신라 시대의 왕경 남북대로가 존재했던 것으로 추정됨

 

  이외에도 동궁 내 생활과 관련된 창고시설과 물 마시는 우물을 확인하였고, 다양한 생활유물 등도 출토되어 신라 왕궁의 일상생활에 대한 연구자료로 확보하였다.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26일 오후 2시 30분에 개최하는 현장설명회를 통해 관계 분야 전문가, 일반 시민과 발굴성과를 공유하고 소통해 나갈 것이다. 아울러 경주 동궁과 월지 발굴조사와 심화연구를 계속 진행하여 신라 왕궁 연구의 새로운 동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더 많은 사진이 첨부된 파일

0926 동궁과 월지에서 신라 왕궁 수세식 화장실 유구 확인(붙임).pdf

 

  아래는 언론 보도

 

  < 경주 '안압지'서 7~8세기 신라왕궁 수세식 화장실터 발견 > (뉴스1, 17. 9. 26.)

 

  < 신라왕실이 사용한 8세기 수세식 화장실 유적 경주서 발견 > (연합, 17. 9. 26)

 

  < 수세식 화장실, 이미 1300년전에도···신라 동궁·월지 확인 > (뉴시스, 17. 9. 26.)

 

  < 통일신라 왕족의 수세식 화장실 발견됐다 > (한겨레, 17. 9. 26.)

 

  YTN 동영상도 있네요

  < 1,300년 전 화장실은?...모습 드러낸 신라 '수세식 화장실' >

 


 

  그런데 앞서 첨부한 사진, 그리고 아래 사진을 자세히 볼 필요가 있음.

 

  이렇게 조정하고나면, 왼쪽이 화장실 바닥돌이 놓여 있는 상태이고, 오른쪽이 바닥돌을 제거한 상태라는 것을 알 수 있음.

  그리고 다시 바닥돌을 보자.

  좌우가 바뀌어 놓여 있다.

  제대로라면 아래 그림과 같이 되어야 한다.

  결국, 현재 발굴된 상태는, 원래 화장실을 사용하던 시대로부터 좀 떨어져서 후대에 돌의 위치가 이동한 결과라는 것. 왜 그랬을까?

 

  어쩌면 신라시대에는 화장실 바닥돌과 변기돌은 세트를 이루지 않는 것인데. 후대에 세트로 재조립하면서 홈의 크기와 변기돌이 딱 맞아떨어지지 않으니 이렇게 좌우를 바꿔 설치한 것은 아닐까?

 

  또 바닥돌에 네모나게 작게 판 홈(3개는 뚜렷하고 1개는 마모되어 잘 안보임)의 용도는 무엇일까?

  내 상상으로는, 바닥에 나무라든가, 뭔가 깔개를 깔고서 움직이지 못하게 하는 용도가 아니었을까 한다. 그냥 쉽게 해보는 상상이다.

  아니면, 오늘날의 좌변기처럼, 나무로 의자 모양의 장치를 바닥돌 위에 덮었을 수도 있겠다. 네모난 홈은 이 장치를 흔들리지 않게 고정시키는 기능을 했을 지도...

 

  참고로, 일본에서도 일찍이 나라시대의 수세식 화장실 유적이 발견되어 복원공사를 한 모양이다.

  관련기사

 

  복원도는 이런 모양


**

  신라의 경우, 문헌에서 확인되는 것은 『삼국유사』혜공왕조에서 "궁궐의 북쪽 측간에서 두 줄기의 연(蓮)이 났다"( 先時宫北厠圊中二莖蓮生)는 기록이다.

  화장실을 측청(厠圊)이라 하였다.

 

  여기서 궁궐이라는 것이 월성을 말하는지, 동궁과 월지 구역을 가리키는 것인지는 분명치 않다. 그러나 어쨌든 수십년 전의 우리 재래식 화장실 같은 곳을 떠올려 보면, 그런 똥통에서 연뿌리가 자라고 연이 나기는 어렵다.

  그래서 이번 발굴에서 시사받을 점들이 많다. 위의 일본 나라시대의 화장실도 참고해야 한다.

 

  수세식 화장실의 오물을 물을 부어 씻어내리면, 이 물들이 일종의 정화조처럼 모여드는 웅덩이가 있었을 것이다. 이번 발굴에서 이런 점을 유심히 살필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연(蓮) 줄기가 날 수 있는 곳은 바로 이런 웅덩이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