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 문화재청 보도자료(15. 1. 19.) 및 첨부사진 ---
충주 호암동에서 세형동검, 잔줄무늬거울 등 청동유물 다량 출토(붙임).pdf
지난해 8월부터 진행된 발굴조사 결과, 구석기 유물포함층을 비롯하여 초기 철기시대와 통일신라∼조선 시대 무덤, 숯가마 등이 확인되었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 확인된 초기 철기시대 무덤은 돌무지나무널무덤(積石木棺墓) 1기와 나무널무덤(木棺墓) 2기 등 총 3기로, 그 중 돌무지나무널무덤은 상․하 2단으로 굴착하여 묘광(墓壙, 관을 넣기 위해 판 구덩이)을 만들었으며, 하단의 묘광에는 통나무관을 놓고 묘광 상부까지 강돌[川石]로 내부를 완전히 채웠다.
※ 돌무지나무널무덤(積石木棺墓): 지하에 직사각형의 구덩이를 파고 나무관을 놓은 후 그 위를 돌로 채운 무덤 양식
아울러 돌무지나무널무덤에서는 세형동검(細形銅劍) 7점, 청동 잔줄무늬거울(多紐細文鏡) 1점, 청동 투겁창(銅鉾) 3점, 청동 꺽창(銅戈) 1점, 청동 도끼(銅斧) 1점, 청동 새기개(銅鉈) 4점, 청동 끌(銅鑿) 2점 등의 청동유물 19점과 검은 간토기(黑陶)가 출토되었다.
※ 청동 투겁창(銅鉾): 나무 자루를 끼우는 청동 창
※ 청동 꺽창(銅戈): 나무 자루를 묶어서 연결하는 청동 창
※ 청동 새기개(銅鉈): 끌의 한 종류로, 앞쪽이 뾰족하여 새기개로 주로 사용
이번에 발굴된 무덤은 기원전 2∼1세기경에 만들어진 것으로 판단되며, 당시 충주를 중심으로 형성된 강력한 세력의 수장(首長, 우두머리) 묘로 발굴조사단은 보고 있다.
지금까지 돌무지나무널무덤은 주로 전라남도나 충청남도 지역에서 확인되고 있다. 또한 청동유물이 다량으로 출토된 무덤도 발견 신고된 사례가 대부분이어서 고분 구조가 온전히 남아 있는 예가 거의 없었다.
이에 비해 금번에 조사된 돌무지나무널무덤은 충청북도에서 확인된 드문 사례이며, 유구 잔존상태가 매우 양호하여 무덤의 축조방식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어 학술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뿐만 아니라 세형동검, 잔줄무늬거울 등 7종 19점에 달하는 청동유물은 그 수량과 종류에서 볼 때 국내 최대 수준에 속해 주목받고 있다. 참고로 1971년 전라남도 화순군 대곡리에서는 이번에 출토된 세형동검, 잔줄무늬거울, 청동 새기개와 더불어 청동 방울 등이 함께 발견되어 1972년 국보 제143호로 일괄 지정된 바 있다.
이번 조사에서 확인된 유구와 유물들은 충주를 포함한 중부 내륙지역의 문화상을 밝혀주는 귀중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아래는 언론 보도
< 세형동검 7자루 넣은 2천200년 전 수장 무덤 발굴 > (연합, 15. 1. 19.)
< 충주 발굴현장…통나무 목관 쓴 초기철기시대 지역수장 > (연합, 15. 1. 19.)
< 충주 스포츠타운 공사터에서 ‘청동기 유물’ 우르르 > (한겨레, 15. 1. 19.)
< 철기시대 무덤 원상태 발굴…국보급 청동유물 가득 > (뉴스1, 15. 1. 19.)
'발굴소식 > 고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담양 서옥고분군 (0) | 2015.03.03 |
---|---|
벽골제 보축제방서 초낭 발굴 (0) | 2015.02.12 |
성산산성 출토 목간은 산성과 무관 (0) | 2015.01.13 |
백제 천제단 유적 첫 발견 (0) | 2014.12.12 |
함평, 국내 최대 즙석분 발굴 (0) | 2014.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