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천500년전 신라시대 여성얼굴 첫 복원…"작고 갸름했다" > (연합, 16. 6. 8.)
< 1500년 전 신라 여인은 미인?…얼굴 첫 복원 > (KBS, 16. 6. 9)
복원 연구를 주도한 서울대 신동훈 교수를 중앙일보가 인터뷰한 기사가 재미 있다. 함께 소개.
< [박정호의 사람 풍경] 미라·인골에 빠진 신동훈 서울대 의대 교수 “뼈는 과거 엿보는 타임머신…유골 200분 넘게 모셨죠” > (중앙, 16. 6. 18)
[출처: 중앙일보] [박정호의 사람 풍경] 미라·인골에 빠진 신동훈 서울대 의대 교수 “뼈는 과거 엿보는 타임머신…유골 200분 넘게 모셨죠”
이 인골은 2013년 경주 천원마을 발굴 당시에 제법 온전한 상태로 출토된 것인데. 당시 문화재청의 보도자료를 소개하면 아래와 같다.
경주 천원마을 진입로에서 삼국시대 목곽묘 출토
매장문화재 조사기관인 신라문화유산연구원(원장 최영기)이 문화재청의 허가를 받아 발굴조사를 하고 있는 경상북도 경주시 교동 94번지 일원 천원마을 진입로 확·포장 공사 부지에서 삼국시대 목곽묘의 부재와 통일신라시대 생활유적이 확인되었다.
그 동안 신라·가야지역 목곽묘(木槨墓, 무덤 구덩이에 나무곽을 짜서 넣고, 그 안에 다시 시신을 담은 관이나 토기 등의 부장품을 안치하는 무덤형식)에 대한 조사는 많았지만, 목곽묘의 목부재가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는 습지에 무덤을 조성하여 곽의 목재가 잘 보존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며, 곽의 규모는 길이 230cm, 너비 90cm이다.
곽의 내부에는 인골이 온전한 채로 남아 있었으며, 유개고배(有蓋高杯, 뚜껑이 있는 굽이 높은 접시) 등 토기류도 11점이 부장되어 있었다. 목재의 치목과 결구방식, 매장방식 등 당시의 장례습속(葬禮習俗, 죽은 사람을 땅에 묻거나 처리하는 사회적 관례나 풍속) 연구와 함께 인골 연구 등 신라사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될 것으로 평가된다.
또 조사구역과 인접한 경주시 탑동 21-3번지에서 원삼국시대의 목관묘가 발굴되었고, 이 곳 주변은 천관사가 건립되는 등 통일신라시대에 이르러 도시가 형성되었던 것으로 보이므로, 경주지역의 문화환경 변화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학술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판단된다.
위 사진이 발굴 당시의 모습으로, 토기 윗쪽에 다리뼈가 보인다.
더 많은 사진은, 문화재청에서 배포한 첨부파일에 있다.
1205 경주 천원마을 진입로에서 삼국시대 목곽묘 출토(붙임).pdf
'발굴소식 > 고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천 문학산서 통일신라 제의유적 발견 (0) | 2016.07.05 |
---|---|
황룡사 남쪽 우물서 청동접시 출토,촌주(村主) 실명 (2) | 2016.06.16 |
충주 탄금대에서 4세기대 백제 철 생산유적 확인 (0) | 2016.06.02 |
삼척 흥전리 사지, 통일신라 청동정병(靑銅淨甁) 출토 (0) | 2016.06.02 |
<백제 풍납토성> 한성백제 최대 寶庫 (0) | 2016.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