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발굴소식/고대

전북 장수에서 가야 수장층 무덤을 알리는 마구류 출토

  전북 장수에서 대가야 유물이 출토된 고분이 발굴되고 있는 모양이다.

  문화재청에서 "전북 장수에서 가야 수장층 무덤을 알리는 마구류 출토"라는 제목으로 보도자료를 올렸는데. 나는 이런 제목이 학문적으로 정확한 것인지 의문이다.

  이게 가야의 수장층인지, 원래 오래 유지되던 토착세력 수장인데, 나중에 가야의 영향력이 미치면서 유물들이 가야 계통으로 섞여 나오는 것인지도 분별하지 않고 마구 '가야'라는 이름을 사용하는 것은 분명히 성급한 일이다.

 

  요즘 가야가 하도 입에 오르내려서. '장수가야' 어쩌구 하는 용어를 내세우는 사람도 있는 모양이지만, 그런 식으로 이야기하려는 '경산 신라' '대구 신라' '상주 신라'가 나올 판이다. 좁게 생각하며 애향심(?) 북돋울 목적으로 역사 연구하는 것도 아니고....

 

 

 

  어쨌든 문화재청 보도자료는 아래와 같다.


전북 장수에서 가야 수장층 무덤을 알리는 마구류 출토

 

 

  문화재청(청장 김종진)의 허가를 받아 장수군(군수 최용득)과 (재)전주문화유산연구원(원장 유철)이 조사하고 있는 ‘장수 동촌리 고분군’에서 가야 수장층의 무덤  임을 알려주는 재갈 등의 마구류와 토기류 등의 다양한 유물이 출토됐다.
  * 마구(馬具): 말을 부리기 위해서 말에게 장착하였던 각종 장구

 

  장수 동촌리 고분군은 백두대간의 서쪽에 자리한 가야계 고총고분군(高塚古墳群, 봉분 높이가 높은 고분군)으로 고분 80여 기가 자리하고 있는데, 올해 4월부터 10월까지 발굴조사를 시행한 고분은 이중에서 30호분으로, 봉분 규모가 남북 17.0m, 동서 20.0m, 잔존높이 2.5m 내외의 타원형 형태이다. 봉분 안에는 무덤 주인이 묻힌 돌널무덤 양식의 주곽 1기와 껴묻거리 등을 묻는 부곽(副槨) 2기가 배치되어 있다. 주곽은 당시의 지표면과 흙 표면을 고른 후 1m 내외의 높이로 흙을 쌓고 다시 되파기하여 쌓아 올렸다.

 

  이번에 출토된 유물은 마구류와 각종 토기류이다. 특히, 30호분 주곽(主槨)에서 확인된 마구류는 재갈(板轡, 판비), 발걸이(鐙子, 등자), 말띠꾸미개(雲珠, 운주), 말띠고리(鉸具, 교구) 등으로 다양하며, 이중, 재갈은 고령 지산동44호분, 합천 옥전M3호분, 함안 도항리22호분, 동래 복천동23호분 등 경상도 지역의 주요 가야 수장층 무덤에서 출토된 바 있는 유물로 이 무덤의 주인공 역시 가야 수장층임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유물이다.

 

  또한, 목긴항아리(長經壺, 장경호), 목짧은 항아리(短頸壺, 단경호), 그릇받침(器臺, 기대), 뚜껑(蓋, 개) 등의 토기류도 출토되었다. 출토된 토기들이 백제, 소가야, 대가야의 토기류와 혼재된 양상이어서 고분 축조 집단이 전라북도 지역에서 생활하면서 다른 지역과 교류해온 사실과 생존시 이뤄온 문화 양상 등을 추정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이번 조사를 통해 30호분은 고분 축조방법과 출토유물 등을 미뤄볼 때 6세기 전반경의 고분으로 추정하며, 고분의 구조와 성격 등을 알 수 있는 자료가 확인되어 장수지역의 가야 묘제 연구에 있어 중요한 성과로 평가된다.


  좀 더 많은 사진은 아래 첨부파일

1108 전북 장수에서 가야 수장층 무덤을 알리는 마구류 출토(붙임).pdf

 

  아래는 언론보도

  < 장수 고분서 1천500년전 마구 출토…"가야 수장층 무덤"(종합) > (연합, 17. 11.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