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발굴소식

(146)
충주 탄금대에서 4세기대 백제 철 생산유적 확인 문화재청 보도자료 (16. 6. 1) - 충주 칠금동에서 4세기대 백제 철 생산유적 확인 - 문화재청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소장 박종익)가 ‘중원(中原) 지역 제철기술 복원연구 사업’의 하나로 추진 중인 ‘충주 칠금동 백제 제철유적 발굴조사’ 결과, 4세기대 백제 철 생산유적이 확인되었다.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는 국내 3대 철 생산지이자 다수의 제철유적이 남아 있는 충주 등 중원 지역을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고대 제철기술을 복원하기 위한 중장기 학술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지난 4월 시작된 이번 조사는 ‘충주 탄금대’(명승 제42호)의 남쪽 경사면 지역을 대상으로 한다. 발굴조사 결과, 백제의 대표적인 원형 제련로(製鍊爐) 4기를 비롯하여, 철광석을 부수던 파쇄장과 배수로, 추정 정련로(精鍊爐), 불을 때던 각..
삼척 흥전리 사지, 통일신라 청동정병(靑銅淨甁) 출토 오래 전에 삼척의 절터에서 '國師'라는 글자가 있는 비석 파편이 발견되었다는 것을 소개한 적이 있는데. 이번에는 통일 신라 정병이 나온 모양이다. 문화재청 보도자료 (16. 6. 2.) : 삼척 흥전리 사지에서 통일신라 시대에 제작된 가장 완전한 형태의 청동정병(靑銅淨甁) 출토 문화재청(청장 나선화)과 (재)불교문화재연구소(소장 일감스님)가 진행 중인 ‘삼척 흥전리 사지’(三陟 興田里 寺址) 발굴조사 결과, 통일신라 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가장 완전한 형태의 청동정병(靑銅淨甁)이 출토되었다. * 청동정병(靑銅淨甁): 승려들이 사용하는 정수(淨水)를 담는 물병. 대승불교에서 비구가 반드시 몸에 지니는 십팔물(十八物)중의 하나이며, 부처‧보살..
<백제 풍납토성> 한성백제 최대 寶庫 (연합, 16. 5. 30.) (연합, 16. 5. 30.) (연합, 16. 6. 2.) 새로운 발굴 소식이 아니라, 그동안의 발굴성과를 소개하는 내용인데. 아마 서울시에서 보도자료를 돌린 듯. 풍남토성 발굴과 보존을 위해 서울시에서 거액을 투입하기로 결정한 것은 잘한 일. 시장이 역사 문화 마인드를 갖고 있으니 가능한 일이고, 그러지 않으면 꿈도 못꿀 일.
부여군 세도면에서 세형동검 등 청동유물 쏟아져 부여군 세도면에서 기원전 청동 유물이 다량 출토된 모양이다. 아래는 문화재청 보도자료. - 세형동검, 잔줄무늬거울 등 일괄 출토 / 기원전 2세기 경으로 추정 - 문화재청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소장 배병선)가 지난해 8월 실시한 충청남도 부여군 세도면 청송리 35-42번지 일대 발굴조사 결과 세형동검, 잔줄무늬거울, 청동 방울 등 다량의 청동유물이 출토되었다.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는 지난해 7월 이 일대에서 시행된 태양광발전시설 건립공사 시 널무덤(土壙墓) 1기가 노출되면서 일부 유물이 수습됨에 따라 긴급 발굴조사(2015.8.21.~9.17.)를 실시하였다. 널무덤 위치한 곳은 남쪽으로는 2km 거리에 금강이 흐르고 평야지대를 끼고 있는 낮은 구릉 정상부(해발 17m) 바로 아래이다. 널무덤은 풍화암반을 ..
경주 월성에서 통일신라 후기 관청지로 추정되는 일곽의 건물지군 확인 문화재청 보도자료---------------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소장 심영섭)가 신라왕경 핵심유적 복원‧정비 사업의 하나로 지난해 3월부터 시행한 경주 월성(사적 제16호) 정밀발굴조사 결과, 하나의 담장으로 둘러싸인 일곽의 통일신라 후기 건물지군이 확인되었다. 이번에 건물지군이 확인된 곳은 월성의 중앙지역인 C지구로, 앞서 진행된 시굴조사(2014.12월~2015.3월) 결과를 토대로 지난해 3월부터 1년간 정밀발굴조사가 이루어졌다. * 총면적 20만 7천㎡에 달하는 경주 월성은 편의상 서편부터 A~D지구 등 4개 구역으로 나누어 발굴조사 중이며, 현재는 중심부인 C지구와 서편 A지구의 문지‧성벽을 조사 중임 정밀발굴조사에서 드러난 일곽의 건물지군은 동서 51m, 남북 50.7m의 정사각형 모..
부여 화지산서 나무삽 다량 출토 백제수도였던 부여 시내의 남쪽. 궁남지의 바로 동쪽에 있는 작은 산에서 발굴이 진행되고 있는 모양. 오늘이 발굴소식이 들려왔다. 궁남지를 바라보는 곳에 이궁지(離宮址)가 있다는 판단을 하고 발굴하는 중인 듯. 발굴지는 아래 지도. 화지산이라는 곳. (연합, 16. 3. 21.)
합천 성산토성은 가야 다라국 도성이었다 유명한 합천옥전고분 앞에 고분박물관이 있고, 그 앞에 일반인은 구분하기 어려운 상태이나 전문가들이 주목하고 있던 곳이 있었다. 성산토성이다. 그런데 최근 합천 성산토성 발굴 결과가 나오기 시작하는 모양이다. (연합, 16. 2. 24.) 그런데 이 기사에서 도성(都城)이라는 표현은 조금 문제가 있는 듯하다. 제법 중앙집권화된 지배구조를 갖춘 왕조의 경우에, 왕이 사는 곳을 도성이라 부른다. 도성 안에는 궁성(宮城)이 있고 여러 관청과 지배층이 주거가 들어서게 된다. 그런데 성산토성은 다라국 왕이 거주하는 왕성(王城) 또는 궁성이라고는 할 수 있겠지만 도성이라 부르기는 어색하다. (뉴시스, 17. 12. 8)
익산 쌍릉 대왕묘에서 성인 여성 치아 4점 출토 발굴 소식은 늘 흥미롭다. 익산 쌍릉에서 성인 여성의 어금니 4개가 발견되었다는 소식. 이 정도면 아마 나이 뿐아니라 건강 상태와 키까지 대략 추정할 근거가 될 듯. 그런데 발굴 당시에는 보지 못했다가, 나중에 유물을 갖고 박물관으로 돌아온 뒤에 목관 더미의 틈새에 있는 것을 뒤늦게 발견한 듯. (한겨레, 16. 1. 26.) (ehddk, 15. 1. 27) (연합, 16. 1. 26) 추가 : 인골이 담긴 나무상자 발견 소식. (연합, 18. 4. 2.)